•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뜸부기

뜸부기Silvetia siliquosa (C.K.Tseng & C.F.Chang) E.A.Serrão, T.O.Cho, S.M.Boo & S.H.Brawley, 1999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Fucales말목 > Fucaceae말과 > Silvetia뜸부기속 >
  • 종설명(Description)

    •   엽체는 황갈색, 작은 반상근에서 단독 또는 2-3회 직립하고, 길이는 5-15cm, 직립부는 편압하고, 수 회 차상분지하며, 줄기는 원주상이고, 복차상으로 분지하고, 말단가지는 좁고, 정단부는 둔원이다. 가지는 엽체의 측면, 연변부, 정단부에서 나고, 기낭은 말단가지 1-2 마디에서 부푼 모양으로 형성하고, 장 타원형, 원통형, 생식기탁은 말단가지 1-2 마디에 형성하고, 잎은 없다.

    •   암반 조간대 중부와 하부에 주로 분포하며 최근 개체군이 계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

    •   남해안, 서해안 지역

    •   중국

    •   식용, 산업용(알긴산 원료), 약용(비뇨기질환 치료)

    •   항산화, 항염증, 항콜레스테롤

    • 참고문헌

      [1] 유용한 서해의 바닷말
      [2] 성민, 이욱재, 황일기, 금연심, 옥정현, 조가연. 2010. 한국의 조류(Algae). 제2권 2호, 해산 갈조류 II.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205 pp.
      [3] Serrão, E. A., L. A. Alice, S. H. Brawley. 1999. Evolution of the Fucaceae (Phaeophyceae) inferred from nrDNA-ITS. J. Phycol. 35, 382-394, 5 figs, 4 tables.
      [4] Tseng, C. K., C. F. Chang. 1953. On a new species of Pelvetia and its distribution. Acta Botanica Sinica 2, 280-297.
      [5] Kim K-S. and Kim S-H. 2021.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ilvetia siliquosa extrac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 232-239.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111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1111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6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남해안 해남군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및 군집 한국 남해안 해남군에 위치한 무인도의 해조상과 군집조사가 1999년 6월 12일에서 29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0종, 갈조류 15종 및 흥조류 62종이었다. 우점종은 구멍갈파래와 지충이이며, 준우점종은 바위수염, 패, 톳, 불등풀가사리, 애기돌가사리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 애기가시덤불, 바위수염-참풀가사리, 애기풀가사리, 애기우뭇가사리, 구멍갈파래, 지충이-톳, 뜸부기, 진두발, 미역, 감태가 분포하였다. 오병건,이재완,이해복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뜸부기 추출물이 물질대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tOH extract from Pelvetia siliquosa on $CCl_4$-induced hepatotoxicity as well as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in rats were investigated. The EtOH extract was found to cause an inhibition of the rise in the transaminase activities in $CCl_4$-intoxicated rats. Also, the EtOH extract exhibited a rat lens aldose reductase inhibition in vitro and showed an inhibition of not only glucose concentrations but also sorbitol accumulations in the lenses, red blood cells and sciatic nerves in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is plant might possess hepatoprotective and anti-diabetic activities. 이상현,이연실,정상훈,신국현,김박광 한국생약학회 상세보기
        남해안 해조류의 지방산 조성 우리나라 남해안 완도지역에 자생하는 해조류 중 갈조류 9종, 홍조류 5종, 녹조류 2종의 지질함량을을 조사하고 지방산조성을 GLC로 분석하였다. 총지질 함량을 볼 때 갈조류 9종은 0.58∼3.00%, 홍조류 5종은 0.47∼2.16%, 녹조류 2종은 0.55∼2.00%로 매우 낮았다. 지방산 성분중 생리적으로 의의가 큰 n-3계열 지방산은 linoleic (18:3), stearidonic (18:4), eicosapentaenoic(20:5) 및 docosahexaenoic (22:6), n-6계열 지방산은 linoleic(18:2), linolenic(18:3), eicosadienoic (20:2),eicosatrienoic(20:3) 및 arachidonic acid(20:4) 등이 각각 정량되었다. 총 n-3 및 n-6 지방산 조성을 보면 갈조류는 1.46∼25.67% 및 0∼48.51%, 홍조류는 1.17∼21.91% 및 0.28%∼29.35%, 녹조류는 3.67∼ 10.61% 및 4.1 ∼8.66%였다. 해조류는 갈조류, 홍조류 및 녹조류의 종류에 따라 n-3계열 불포화지방산과 n-6계열 지방산 함량 조성이 매우 상이하였으며, 특히 영양학적긴 측면에서 볼 때 지충이, 톳유엽 및 실풀 외에도 광생이모자반, 뜸부기, 톱니모자반, 꼬불꼬시래기 등은 n-3 polyenes의 조성비율이 높은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고찰되었다. 최강주,최선남 한국식품영양학회 상세보기
        해조류인 뜸부기의 추출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eOH and water extracts from the marine algae Pelvetia siliquosa were evaluated o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cholesterol rich diet or poloxamer-407. The MeOH and water extracts, when administered orally for 3 consecutive days i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poloxamer-407 (1 ml of 30%), were found to cause a significant decrease in plasma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Both extracts also showed a significant inhibition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 in rats treated with cholesterol rich diet. HDL-cholesterol, however, was increased significantly. 이연실,정상훈,이상현,신국현 한국생약학회 상세보기
        한국 진도의 자연군락 뜸부기(Silvetia siliquosa)의 생장과 성숙 주기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lvetia siliquosa, an endangered brown alga, were investiga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3 in Jindo, South Korea. The S. siliquosa population formed widespread patches on natural rock. Receptacles were observed from March to August when seawater temperatures ranged from 8-26℃. A maturation peak was detected in June, when seawater temperatures were 23.4℃. After embryo release, the alga bleached and only the discoidal holdfast remained after August. Developmental initiation of the thallus occurred at temperatures above 8℃, and receptacle formation required approximately 196 degree-days.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a S. siliquosa population throughout the entire year in a natural habitat. 황은경,유호창,하동수,박찬선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7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뜸부기 효소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후 고혈당 및 당뇨병개선용 조성물 1020080101336 (주)일섬바이오텍 원문정보
        뜸부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푸코스테롤을 함유하는간세포 보호 또는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1020030038647 신국현|주식회사 월드씨그린|신규열|신양우 원문정보
        뜸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및 당뇨성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020020023561 주식회사 월드씨그린|신국현|신규열|신양우 원문정보
        뜸부기의 종 보존 방법과 형질변형에 의한 생산방법 1020180040785 황태식 원문정보
        뜸부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102021002137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29건, 1/86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1550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뜸부기
      Silvetia siliquosa
      대한민국 2012-01-19
      MABIK AL0001550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뜸부기
      Silvetia siliquosa
      대한민국 2012-01-19
      MABIK AL000155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뜸부기
      Silvetia siliquosa
      대한민국 2012-01-19
      MABIK AL000155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뜸부기
      Silvetia siliquosa
      대한민국 2012-01-19
      MABIK AL0001551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뜸부기
      Silvetia siliquosa
      대한민국 2012-01-1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