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북방대합

북방대합Spisula sachalinensis (Schrenck, 1862)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Bivalvia이매패강 > Venerida백합목 > Mactridae개량조개과 > Spisula북방대합속 >
  • 종설명(Description)

    •   조간대 아래 수심 30m의 모래에 서식한다.
      [1]

    •   패각은 길이가 95mm 내외로 난형이며 단단하고 두껍다. 외면은 황갈색의 각피가 덮여있고 각정 부분은 각피가 마모되어 백색의 광택을 띤다. 각정은 중앙에 위치하며 앞쪽으로 치우친다. 각피층 아래에는 거친 방사상 띠가 1줄이 있다. 성장선이 뚜렷하며 인대는 약하게 나타난다. 내면은 흰색으로 광택은 나지 않는다.
      [2]

    •   태평양(일본)
      [3]

    •   강원(강릉시, 속초시, 고성군)
      [2]

    • 출처

      [1].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연체동물도감. 한글그라픽스, 부산. 566 pp.
      Huber M, 2010. Compendium of bivalves. A full-color guide to 3,300 of the world's marine bivalves. A status on Bivalvia after 250 years of research. ConchBooks, Hackenheim 901 pp.

      [2].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연체동물도감. 한글그라픽스, 부산. 566 pp.

      [3]. Huber M, 2010. Compendium of bivalves. A full-color guide to 3,300 of the world's marine bivalves. A status on Bivalvia after 250 years of research. ConchBooks, Hackenheim 901 pp.
      MolluscaBase eds., 2022. MolluscaBase. Spisula sachalinensis (Schrenck, 1861).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at: https://www.marinespecies.org

    • [4].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연체동물도감. 한글그라픽스, 부산. 566 pp.
      Huber M, 2010. Compendium of bivalves. A full-color guide to 3,300 of the world's marine bivalves. A status on Bivalvia after 250 years of research. ConchBooks, Hackenheim 901 pp.

      [5].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연체동물도감. 한글그라픽스, 부산. 566 pp.

      [6]. Huber M, 2010. Compendium of bivalves. A full-color guide to 3,300 of the world's marine bivalves. A status on Bivalvia after 250 years of research. ConchBooks, Hackenheim 901 pp.
      MolluscaBase eds., 2022. MolluscaBase. Spisula sachalinensis (Schrenck, 1861).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at: https://www.marinespecies.org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1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2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개량조개 과 4종의 정자미세구조 본 연구는 개량조개과에 속하는 동죽, Mactra veneriformis, 개량조개, M chinensis,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왕우럭, Tresus keenae을 대상으로 정자의 미세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4종 모두 primitive type의 정자를 가지고 있었다. 첨체모양은 4종 모두 유사한 형태로 첨체의 앞쪽은 전자밀도가 낮은 부분 (elp)이고, 첨체의 뒤쪽은 전자밀도가 높은 부분 (edp)로 나누어지는 변형된 모자모양이다. 4종의 정자의 핵 모양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어 구분이 가능하며, 특히 Mactra 속의 2종은 핵의 모양이 서로 유사하다. 그리고 정자의 중편부를 구성하고 있는 미토콘드리아수는 4종 모두 4개로 나타났다. 개량조개 과 조개의 정자형태는 종 특이성을 가지고, 특히 첨체는 다른 과의 조개류와 다른 과수준의 특이성으로 판단된다. 김진희,유명숙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북방대합 치패의 수온, 염분 및 공기노출에 따른 생존율과 잠사능력 이 연구에서는 인공종묘 생산된 북방대합 치패를 대상으로 수온, 염분 및 공기 중 노출에 따른 생존율과 방류를 위한 잠사 능력을 조사하였다. 수온 4∼28$^{\circ}C$ 범위에서 10일간 치패의 수온에 따른 생존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염분 22 psu 이상에서는 5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또한 기온 2$0^{\circ}C$이하의 공기 중 노출에서 12시간 이내에는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25^{\circ}C$에서는 16시간 이상에서 50% 이하의 생존율을 보였다 각 장에 따른 잠사능력은 각 장이 증가할수록 잠입시간은 길어지고 잠입률은 감소하였으며, 각장 15mm 이하의 치패는 10분 이내에 90% 이상 잠입하였다. 저질모래 크기에 따른 잠입시간과 잠입률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정용,김완기,이채성,박영제 한국양식학회 상세보기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sisr 유생의 발생단계별 냉동-해동후 생존율 동해안산 북방대합의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유생단계를 선택하기 위해, 담륜자, 초기 D상 유생, 후기 B상 유생, 초기 각정기, 후기 각정기 유생에 대한 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동해방지제로는 dimethyl sulfoxide와 ethylene g1yco1를 사용하였다. 동해방지제에 각 단계의 유생을 10분간 두어 평형상태에 달하게 한 다음, 냉동하여 액체질소에 보존하였다. 해동결과,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유생은 담륜자로서 동해방지제 2.0 M BMSO와 2.0 M ethylene glycol에서 생존율은 각각 97.4%와 85.0%였다. 발생이 진행된 유생일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김영신,최윤희,이정용,장영진 한국발생생물학회 상세보기
        북방대합(Spisula sachalinensis) 발생속도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조개류의 발생에서 온도는 초기 난할기의 세포 분열과 유생의 발생 및 사육에 큰 영향을 미치며, 대사율과 성장율에는 직접적으로, 영향-환경 측면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발생속도에 관한 연구는 단일 수온 조건하에서의 수온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가 대부분이다(Ventilla, 1982). 그러나, 최근들어 나타나는 이상기온현상으로 인한 수계의 불안정과 수질 오염 등으로 인해 기존의 연구, 즉 단일 수온 조건하에서의 연구가 수정과 발생의 범위를 넓히기 어렵다. (중략) 이정용,장윤정,최윤희,김영신,장영진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Tin-free 방오제인 Sea-Nine 211을 주사한 북방대합에서 alkoxyresorufin 탈알킬화효소와 글루타치온 포합효소 활성의 변화 방오도료로 많이 쓰이던 유기주석화합물은 일반생물에게 미치는 독성이 매우 강하고 또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임이 밝혀지면서 이를 대체할 화합물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Sea-Nine 211(4,5-dichlore-2-n-octyl-3(2H) isothiazolone)을 사용하여 이 화합물이 해양생물 특히 저서생물인 패류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강원도 북부 해역에 주로 서식하는 북방대합(Pseudocardium sachalinensis)에게 Sea-Nine 211을 강제적으로 주사하여 alkoxyresorufin 탈알킬화효소인 EROD와 MROD의 활성 변화를 4일째까지 조사하였고, 비교를 위해서 tributyltin chloride (TBTC)도 사용하였다. 그 결과, CYP1A1의 지표효소인 EROD활성은 Sea-Nine 211 및 TBTC주사구 모두 sham구와 차이가 없었지만, CYP1A2의 지표효소인 MROD활성은 Sea-Nine 211 주사구가 sham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므로 Sea-Nine 211에 의해 유도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것은 북방대합에도 CYP1A2가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지선,전영하,심원준,전중균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7건, 1/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NP2021003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추출물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대한민국 2021-05-20 36 Tube
      MABIK PN1221002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gDNA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대한민국 2021-05-20 9 Vial
      MABIK PT1221002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조직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대한민국 2021-05-20 15 Vial
      MABIK NP2024002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추출물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대한민국 2023-05-16 40 Tube
      MABIK PN1224002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gDNA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대한민국 2023-05-16 6 Vial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