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예쁜이갯민숭이Tritonia festiva (Stearns, 1873)
몸은 반투명한 주황색 또는 자주색 바탕에 흰색 선의 무늬가 외투, 아가미, 두막 등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두막은 입을 덮고 있으며 그 끝은 톱니 모양을 하고 있다. 촉각은 자루가 길고 상부는 끝이 뾰족한 곤봉 형태이며, 톱니 형태의 촉각집에 둘러싸여 있다. 아가미는 돌기 형태로 외투의 가장자리를 따라 2열로 줄지어 있는데 개체에 따라 8~9쌍이고, 각 아가미돌기는 가지를 친 모양이다. 중대형 종으로 몸길이 80mm 이상 자란다. 미국의 캘리포니아 북부 연안부터 알래스카, 일본, 한국 등에 분포하며, 한류성 종의 특성을 가진다. 우리나라에서는 동해, 울릉도 및 독도 등에서 발견되는데, 주로 바다딸기류를 비롯한 산호충류 주변에서 관찰된다. 조간대 하부에서부터 조하대 약 30m 이상의 수심까지 서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바다딸기류를 비롯한 산호충류 주변에서 흔하게 관찰되며, 암반 위나 바닥의 자갈 바닥에서도 간혹 발견된다.
수심 10 m 이내 암반에 부착하여 서식한다.
[1]
연체부는 반투명한 붉은색 바탕에 흰색의 다이아몬드무늬가 있다. 외투의 가장자리에는 아가미 돌기가 좌우로 쌍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다. - 몸길이: 약 30mm
[2]
미국의 캘리포니아 북부 연안부터 알래스카, 일본, 중국, 대만
동해, 울릉도 및 독도, 제주, 서해 남부(가거도), 남해, 동해 남부
Variable neuronal participation in stereotypic motor programs (https://www.ncbi.nlm.nih.gov/pubmed/?term=22815768)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3].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4].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참고문헌
Gosliner T.M. (1996). The Opisthobranchia. In: Taxonomic Atlas of the Benthic Fauna of the Santa Maria Basin and Western Santa Barbara Channel. The Mollusca Part 2 – The Gastropoda. Santa Barbara Museum of Natural History. volume 9: 161-213.
NCBI (Tritonia festiva)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