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가시파래

가시파래Ulva prolifera O.F.Müller, 1778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Chlorophyta녹조식물문 > Ulvophyceae갈파래강 > Ulvales갈파래목 > Ulvaceae갈파래과 > Ulva갈파래속 >
  • 종설명(Description)

    •   엽체는 직립하고, 암녹색이고, 원통형으로 자라며, 실모양으로 가늘고, 몸 전체에서 분지하고, 점상의 작은 기부로 자갈, 패류 껍질, 뻘에 부착하며, 1~3 mm 정도로 가늘고 끝이 뽀족한 다수의 가지를 낸다. 세포는 비교적 규칙적으로 종렬하고, 사각형이고, 길이 20~30 μm, 폭 10~15 μm로 크고, 편재하는 하나의 엽록체와 1(~2)개의 피레노이드를 함유한다.

    •   엽체는 진한 녹색이고 원통형으로 직립하며 실 모양으로 가늘다. 자갈, 패류 껍질, 뻘에 부착하며, 가늘고 끝이 뽀족한 다수의 가지를 낸다. 남해안에서는 감태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는 비교적 규칙적으로 종렬하고 사각형이며 길이가 20∼30㎛이다. 연중 관찰되지만 봄에 번무한다. 중국에서 대발생 종이다. 우리나라 전 연안의 조간대에서 관찰되고 특히 서․남해안 뻘에서 대규모 군락을 형성한다. 점상의 작은 기부에서 자갈, 패각, 바위에 주로 부착하여 자란다.

    •   남해안 전 연안

    •   온대 지역

    •   식용(대한민국,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약재(중국, 인도네시아)

    •   항산화, 항암 효과

    • 참고문헌

      [1] Bae EH. 2010. Ulotrichales, Ulvales. pp. 7-52. In Algal Flora of Korea. Volume 1, Number 1. Chlorophyta: Ulvophyceae: Ulotrichales, Ulvales, Cladophorales, Bryopsidales.
      [2] Marine Green Algae (Bae EH, HS Kim, CJ Kwon, IK Hwang, GH Kim and TA Klochkova ed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3] 유용한 남해의 바닷말
      [4] 약용해양생물학
      [5] Baek SY, Kim DH, Kim SJ. and Kim MR. 2020.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nteromorpha prolifera extract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9, 462-472.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21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8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가 첨가된 막걸리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lcohol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based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5% and 10% Enteromorpha prolifera (Ep) during an 8-days cold storage at 4℃. The alcohol content in the unsupplemented Makgeolli (control) and Ep Makgeolli gradually increased from day 0 to day 8 (control, 2.05-8.03; 5% Ep, 2.15-9.03; 10% Ep, 3.15-10.07).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0% Ep Makgeolli (75.87%) than 5% Ep Makgeolli (57.34%) and control (21.91%). The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0% Ep Makgeolli (90.85%) than 5% Ep Makgeolli (75.94%) and control (47.21%). Makgeolli supplemented with 10% Ep had the highest color, smell,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scores.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Makgeolli supplemented with 10% Ep could be potentially developed because of its high antioxidant properties and good consumer acceptance. 김지윤,전은비,최만석,박신영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해조류 추출물로부터 홍합(Mytilus edulis)의 부착 저해물질 정제 연안 해역에서 해조류와 부착패류는 양식장 시설 뿐만아니라 수취구 어선바닥 등에서 그 피해는 심각한 실정이다. 해조류에 의한 부착은 잎파래 가시파래 등이 주가 되고 패류로는 홍합과 따개비가 주를 이룬다 이들의 부착방지를 위해서 염소살균, TBTO (Tributyltin oxide), CuSO $_4$ 등의 처리를 하고 있지만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는 또다른 환경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같은 부착방지 물질 탐색의 일환으로 흥합을 탐색 대상종으로 선택하여 각종 해조류 추출물들로부터 부착 방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리매(Sytosimphon lomentaria)로부터 가장 높은 활성을 확인 하였고, TLC, silica-gel chromatography, Ion-exchange, HPLC를 통해 정제 하였다. (중략) 조지영,홍용기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괭생이모자반 및 가시파래를복합추출물의 화장품 원료에 대한 연구 Marine organisms that harm human life or property are called harmful marine organisms. Such harmful marine organisms, such as Sargassum horneri, Enteromorpha prolifera, and the like, which have been introduced in large amounts domestically from the East China Sea coast in southern China because of an increase in seawater temperature due to global warming, are expected to continue to proliferate in the future. These harmful marine plants may be utilized as edible products, fertilizers, and the like, but they proliferate on a large scale, accumulate on the shore, generate offensive odors, and cause damage to farms. Moreover, Sargassum horneri and Enteromorpha prolifera, deposited thereon, rot and cause offensive odors due to the lack of collection staff and budget. Although these harmful marine species, Sargassum horneri and Enteromorpha prolifera, are obvious choices for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high-value-added products based on the latest biotechnology relative to their potential value, they are merely collected and thus discarded, or are used as fertilizer.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echnology that is able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a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which may satisfy the activity required of cosmetics, including antioxidant activity for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elated to the endogenous aging of the skin, using seaweeds, for example, brown algae such as Sargassum horneri and green algae such as Enteromorpha prolifera, and which may also exhibit high percutaneous absorption efficiency using a variety of formulation processes. The present research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complex extract of Sargassum horneri and Enteromorpha prolifera, which is capable of exhibiting antioxidant activity. 신영상 한국화장품미용학회 상세보기
        미생물을 이용한 해조류의 가수분해 및 이용 II. 돌가사리, 톳 및 가시파래를 가수분해시키는 미생물군의 탐색 해조류 조직을 가수분해시켜 기호성 및 응용성이 높은 액상원료로 가공하는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우선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로서 산, 논, 밭, 해변 및 어판장에서 약 200종류의 미생물군 시료를 수집하여 해조의 조직파괴가 인정되는 8군의 미생물 시료를 사용하여 돌가사리,톳 및 가시파래의 조직파괴와 가수분해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추출액 중의 전당과 환원당을 측정하여 추출율과 분해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돌가사리, 톳 및 가시파래의 전당 추출량과 추출율은 각각 담수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No.27번), 부식한 식물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No. 8번) 및 담수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환원당의 추출량과 추출율에서는 각각 8번, 8번 및 27번 미생물군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분해율은 전당의 추출율도 상당히 높으면서 환원당의 추출이 가장 높았던 실험구들이 각각의 해조에서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이들 자연계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중에 해조 조체를 파괴시키고, 또한 해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당을 비롯한 유용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며, 해조를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를 가진 미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또한 이들 미생물군에서 단일 또는 복합 해조가수분해 미생물 및 효소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김해섭,배태진 한국식품영양학회 상세보기
        한국 남서해안 함평만의 월별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2008년 4월부터 2009년 3월까지 1년간 우리나라 서남해안 함평만의 도리포에서는 조간대의 해조류 식물 군집과 가입리에서는 식용 해조류 가시파래의 월별 변동성을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된 해조류는 총 22종이었으며, 녹조류 5종, 갈조류 4종 그리고 홍조류 13종이었다. 함평만 도리포 암반 조간대에서 연간 우점하는 해조류는 구멍갈파래였고, 준 우점종은 잎파래와 애기가시덤불이었다.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수직분포는 잎파래 - 애기가시덤불 - 구멍갈파래 - 지충이었다. 가시파래의 생물량은 6월에 최대를 보였고 11월에 최소를 보였으며, 2.4-98.2 g dry wt. m-2 범위를 나타냈다. 가시파래의 생물량은 수온과 연관이 있어 보이지만 영양염류 및 빛의 강도 같은 기타 환경요인과의 관계는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오병건,최한길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해조 식혜의 제조 방법 2009-0128291 전라남도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4-0015545 (주)대한하이텍건설 | 강창구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3-0090078 강창구 | (주)대한하이텍건설 원문정보
        면역 활성이 증진된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1020150089471 재단법인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원문정보
        가시파래를 이용한 음식의 제조방법 1020150171476 이승우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89건, 1/58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1379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파래
      Ulva prolifera
      대한민국 2012-01-14
      MABIK AL0001379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파래
      Ulva prolifera
      대한민국 2012-01-14
      MABIK AL0001395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파래
      Ulva prolifera
      대한민국 2011-08-08
      MABIK AL0001396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파래
      Ulva prolifera
      대한민국 2011-08-09
      MABIK AL0001396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파래
      Ulva prolifera
      대한민국 2011-10-15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