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87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다시마 뿌리로부터 유기산을 이용한 다당과 미네랄 추출 국내에서는 다시마 뿌리가 아직 활용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뿌리에서 탄수화물과 미네랄 등을 추출하는 공정을 개발하고 이들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해조류의 다당류 추출은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염산을 많이 사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에 이용하기 위해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해 추출하였다. 유기산은 추출 효율이 강산에 비해 낮으므로 최적의 추출 조건을 찾는 연구를 하였다. 추출온도, 추출시간, 유기산의 농도, 시료 입자 크기 등을 변화시키며 다당 수율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시료 입자가 작을수록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수율은 증가하였다. $100^{\circ}C$ 에서 구연산 농도 0.2 wt%로 4.0시간 추출했을 때 수율은 19%였다. 다시마뿌리 추출액의 K/Na 비가 약 3으로 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다시마 뿌리에서 추출한 후코이단은 미역에서 추출한 후코이단과 비교해 당의 조성은 비슷하였으나, 분자량은 더 작았다.천지연,차성한,이정식,김영숙,박권필 한국화학공학회 상세보기 해조류 첨가가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두유에 해조류 마쇄물을 10% 혼합하여 두부를 제조하고 일반두부와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모자반, 미역, 다시마를 첨가한 두부는 일반두부에 비하여 수율과 단백질, 회분 함량이 각각 19.6~20.6%, 3.1~7.1%, 10.8~21.4% 증가하였고 두유청의 탁도는 감소하였다. 해조류 첨가 두부의 견고성은 0.36~0.52kg으로 일반두부의 0.70kg에 비하여 낮았으나 탄력성, 응집성, 부서짐성은 현저히 증가하였고 껌성도 증가하였다. 해조류 첨가로 두부의 색도중 L값은 낮아졌고 a값은 미역과 다시마 첨가구에서, b값은 톳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해조류 첨가 두부는 응고제 첨가량의 증가로 Ca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Fe, Zn, Mn은 감소하였다. 두부의 조직감은 다시마와 꼬시래기, 톳을 첨가한 두부가, 맛은 꼬시래기를 첨가한 두부가 양호하였다. 김동한,임미선,김영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효과 증진을 위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와 ${\alpha}$ -amylase 및${\alpha}$ -glucosidase 억제활성 증진을 위해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해조류 첨가된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과 미네랄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3가지 해조류의 첨가량은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톳과 미역귀 5% 첨가에 의해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철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톳 20% 첨가한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환원능력이 야채추출물보다 각각 47.08와 16.8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3가지 해조류 첨가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큰 변화가 없었다. 톳, 매생이, 미역귀 20% 첨가에 의해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27.47, 22.25, 17.2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해조류 첨가된 혼합 야채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약한${\alpha}$ -amylase 억제활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강한${\alpha}$ -glucosidase 억제활성이 나타냈다. 특별히 미역귀 5% 첨가한 경우${\alpha}$ -glucosidase을 98.26%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전반적으로 해조류 첨가를 통해 야채추출물의 미네랄 함량이 증가하였고 항산화와 2형 당뇨병 관련 효소 억제활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Tong, Tao,Zhang, Chengmei,Ko, Du-Ok,Kim, Sup-Bo,Jung, Kwang-Jin,Kang, Seong-Gook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상세보기 추출방법을 달리한 미역 및 다시마 과립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하여 기호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킨 해조 과립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역, 다시마 미세분쇄분말을 열수 및 고압 추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의 수율은 미역, 다시마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른 미역, 다시마 과립의 흡습특성 및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미역 과립차의 전자공여능을 비교분석한 결과 고압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다시마의 과립차에서는 열수추출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미역 과립차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다시마 과립차의 경우 고압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Fe^{2+}$ chelating효과는 열수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TBARS에서는 고압추출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미역 다시마 모두 고압추출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권유리,윤광섭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상세보기 미역줄나무 뿌리 추출물인 셀라스트롤의 비만관련 암증식 억제효과 Celastrol은 미역줄나무의 뿌리에서 얻은 추출물로 오래전부터 관절염 및 자가면역 같은 염증반응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쓰여져 왔다. 이외에도 많은 연구들에서 celastrol이 신경보호, 항산화 및 알츠하이머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암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밝혀 졌다(Table 1).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생리학적, 생화학적 및 면역학적 관점에서 celastrol의 항암효과를 규명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Fig. 1). 특히, celastrol은 $NF-{\kappa}B$ 를 억제함으로서 암의 발달 및 전이를 저해함을 물론, 암의 치료에 동반되는 면역 반응을 조절 할 수 있다(Fig. 2). 또한 세포사멸과 관계된 유전자들을 활성화 시키고, 항세포사멸 유전자들을 억제시킴으로서 세포 주기를 조절한다. 유전자 조절 외에도 heat shock protein과 같은 단백질의 변조와 자가소화작용(autophagy)를 유도한다. 이처럼 celastrol의 다양한 효과는 암의 성공적 치료에 한발 더 가까워지게 만든다. 이외에도 celastrol의 항 비만 효과가 알려지면서 향후 비만 및 비만과 연계된 암 환자들이 가질 수 있는 부작용, 오남용 및 비용절감 측면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낼 것이라 예상 된다. Celastrol의 다양한 기작이 밝혀짐에도 불구 하고 직접적인 결합 부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 없으며, 임상적용 하기에 앞서 다양한 동물모델 in vivo 실험이 필요하다. 또한 임상치료 시도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 하기 위해서는 celastrol의 단기간 및 장기간의 효과에 대한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박선미,문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214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해조류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2004-0054184 김광래 원문정보 갈조류 알긴산 유래 폴리만뉴로네이트 제조방법 2014-001066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갈조류 건조장치 2013-0050797 도담푸드 주식회사 | 이상로 원문정보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추출방법 및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물질 2011-0023308 (주)아이에스푸드 원문정보 알긴산 추출 방법 및 상기 알긴산 올리고머를 이용한 아토피 치료 조성물 2010-0040752 강성식 | 듀얼라이프 주식회사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건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Undaria pinnatifida 미역 제주특별자치도,강원도 식용,약용,생활용 국으로 끓여먹거나 나물로 무쳐먹으며, 특히 미역귀에는 영양분이 많다고 하여 구워서 물질하는 해녀들이 간식으로 주로 먹었다.
국으로 끓여 먹으면 산모 건강에 좋으며, 특히 몸에 안좋은 것들을 내보내어 피를 맑게 하여 산후 조리에 좋다.
산모 모유 수유에 도움을 준다.
미역귀를 구우면 나오는 파란색 끈적한 물질을 피부 팩으로 이용하였으며, 피부에 좋으며, 특히 얼굴 기미에 좋다.
변비에 좋다.
뼈를 튼튼하게 한다.
혈액 순환에 좋다.
갱국: 제주도 제사음식 중 ‘국’을 뜻하는 말로 주로 미역을 공통 재료로 사용하며, 옥돔, 돔, 성게 또는 소고기를 곁들이는 재료로 사용한다.
추자도 , 표선, 마라도 등 일부 해안에서는 생산량이 높아 특산물로 판매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