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Vibrio crassostreae

Vibrio crassostreae Faury et al., 2004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2
분류체계 : Bacteria세균계 > Pseudomonadota > Gammaproteobacteria > Vibrionales > Vibrionaceae > Vibrio >
  • 종설명(Description)

    •   의미: Crassostrea gigas / 분리원: Crassostrea gigas / 보존기관: CIP, LMG

    •   Oxidase, Catalase

    •   주요 지방산: 14 : 0 iso, 16 : 0 iso / DNA G+C 비율(%): 44.1 mol%

    •   온도(최적온도): 4℃ / 산소요구도: 통성 혐기성 / 주요기질: arginine dihydrolase, gelatinase

    •   그람염색: 음성 / 콜로니특징: rounded colonies with entire margins on TSA. Strains form yellow, translucent, 5 mm colonies on thiosulfate-citrate-bile salts-sucrose (TCBS) agar / 세포크기: 1 x 2-3㎛ / 편모나 섬모 여부: 한 개 이상의 극성 편모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32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32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16SrRNA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Vibrio crassostreae PKA 1002 유래 조효소액에 의한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분해물의 항산화 효과 지충이 물 추출물을 알긴산 분해능을 가진 V. crassostreae PKA 1002 유래 조효소액을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킨 후 pH, 색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충이 물 추출물과 조효소액을 30℃에서 0, 3, 6, 12 및 24시간 반응시켜 환원당 생성능과 점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환원당 생성능은 반응 6시간에서 357.82 μg/ml로 가장 높아졌으며, 점도는 0시간에서 1.57 cp에서 반응 6시간에서 1.22 cP로 가장 낮아져 6시간에서 최적분해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pH 및 색도는 지충이 물 추출물과 효소분해물이 각각 6.11과 6.1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색도는 효소분해물이 물 추출물보다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PC 함량은 지충이물 추출물과 효소분해물이 2.54 및 2.55 mg/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지충이 효소분해물이 0.05?5 m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보다 낮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반면, chelating effect 측정 결과, 0.05?5 mg/ml 농도에서 효소분해물의 활성이 물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Reducing power 측정 결과, 0.005?1 mg/ml 농도에서 지충이 물 추출물과 효소분해물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지충이 효소분해물은 지충이 물 추출물보다 금속봉쇄력의 활성이 증진됨을 확인하여, 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지충이 물 추출물과 달리 금속봉쇄력작용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박시우,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원민,안나경,최연욱,박지혜,배난영,임성미,안동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3건, 1/3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I0000021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Vibrio crassostreae 대한민국 2011-05-12 10 Vial
      MABIK MI0000325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Vibrio crassostreae 대한민국 2007-08-07 10 Vial
      MABIK MI0000385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Vibrio crassostreae 대한민국 2008-11-28 10 Vial
      MABIK MI0000500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Vibrio crassostreae 대한민국 2010-07-20 7 Vial
      MABIK MI0000501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Vibrio crassostreae 대한민국 2010-07-20 8 Vial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