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Vibrio harveyi

Vibrio harveyi (Johnson & Shunk) Baumann et al., 1980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2
분류체계 : Bacteria세균계 > Pseudomonadota > Gammaproteobacteria > Vibrionales > Vibrionaceae > Vibrio >
  • 종설명(Description)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16SrRNA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Vibrio harveyi 백신의 효능 향상을 위한 배양 배지내 2-2'-dipyridyl 첨가 및 연쇄구균 백신과 혼합 투여의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해산어류와 갑각류에 심각한 위해를 끼치고 있는 V. harveyi에 대한 백신개발을 위하여 V. harveyi 백신생산에 적합한 배양배지를 탐색하고 적정 투여량을 조사하며 또한 S. parauberis 백신과 혼합백신의 형태로 투여시 백신효능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2'-dipyridyl이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은 TSB와 BHIB에 배양 후 FKC 백신을 제작한 후 넙치에 투여하여 응집항체가의 생산변화와 공격실험에서의 상대생존율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V. harveyi 백신의 적정 투여량을 정하기 위하여 어체중 kg 당 10mg 또는 20mg을 투여하여 면역반응을 비교하였으며 S. parauberis 백신을 혼합한 백신을 투여한 후 면역반응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2'-dipyridyl이 들어간 TSB와 BHIB에 배양된 V. harveyi 백신은 응집항체형성과 방어력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백신 투여량에 따른 응집항체가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었으나 어체중 kg 당 10mg을 투여한 실험구가 조금 높은 방어력을 나타내었다. S. parauberis 백신과 혼합한 dual 백신을 투여시 V. harveyi 백신만을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와 비교해 방어력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어체중 kg당 두가지 백신을 각각 10mg씩 혼합하여 투여한 실험구에서는 28일동안 폐사가 전혀 일어나지 않아 백신효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넙치를 위한 V. harveyi 백신을 개발할 때는 2-2'-dipyridyl가 첨가된 TSB에 배양 후 제작된 V. harveyi 백신을 어체중 kg당 10mg의 투여량으로서 S. parauberis 백신과 혼합투여하는 것이 효능과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김명석,정승희,홍수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상세보기
        Changes in the Gut Microbiota Composit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Caused by Pathogenic Bacterial Infection The fish gut microbio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overall health. However, few reports have described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ut microbiota following infection with pathogenic bacteria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Here, we reported the changes in the gut microbiota composition of flounder after treatment with each of the three pathogenic bacteria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iniae, and Vibrio harveyi). Edwardsiella tarda infection decreased the relative abundance of Verrucomicrobia and increased Proteobacteria abundance at the phylum level of the gut microbiota over time. Similarly, Streptococcus iniae infection reduced the relative abundance of Verrucomicrobia. Vibrio harveyi infection caused a decrease in the relative abundance of Firmicutes and Verrucomicrobia and increased Proteobacteria. At the genus level, infection with all three pathogens increased the relative abundance of Ralstonia and Sphingomonas species. Conversely, this infection decreased the relative abundances of Rubritalea, Saccharimonas, and Bacillus species. Therefore, reducing the abundance of Ralstonia and Sphingomonas and increasing the abundance of Rubritalea, Saccharimonas, and Bacillus in the gut microbiota composition of flounder might help maintain a healthy gut microbiota balance. This research might be useful for future studies on improving the health of flounder through gut microbiota regulation. Kim Dong-Gyun,Lee Su-Jeong,Lee Jong Min,Lee Eun-Woo,Jang Won Je MDPI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3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활주세균병 또는 비브리오병을 예방하는 백신 조성물 102017007267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새우 조기폐사증후군 감염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7014655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문정보
        어류의 비브리오 하베이 감염증 예방용 불활성화 백신, 그 제조방법 및 투여방법 102010005658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51건, 1/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GR0000005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gDNA Vibrio harveyi 대한민국 2016-11-23 4 Tube
      MABIK MI000006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Vibrio harveyi 대한민국 2016-11-23 7 Vial
      MABIK MI0000344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Vibrio harveyi 대한민국 2007-10-06 9 Vial
      MABIK MI000040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Vibrio harveyi 대한민국 2009-04-24 9 Vial
      MABIK MI0000428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Vibrio harveyi 대한민국 2009-08-23 9 Vial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