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Winogradskyella sediminis

Winogradskyella sediminis Zhang et al., 2016

분류체계 : Bacteria세균계 > Bacteroidota > Flavobacteriia > Flavobacteriales > Flavobacteriaceae > Winogradskyella >
  • 종설명(Description)

    •   의미: 퇴적물 sediminis에서 유래 / 분리원: 중국 황해에서 수집 된 해양 퇴적물. / 분포: 중국 황해 / 보존기관 정보: LMG, DSM
      [1]

    •   galactose, mannose, maltose, mannitol, glucose
      [1]

    •   퀴논: MK-6 / 주요 지방산: iso-C15:0, iso-C15:1G, iso-C15:0 3OH, iso-C17:0 3OH / DNA G+C 비율(%): 36.1mol% / 기타 세포성분: phosphatidylethanolamine, aminolipids, aminoglycolipid, aminophospholipid, phospholipid
      [1]

    •   온도(최적온도): 1–30 (30) / 염도(최적염도): 2–6 / Ph(최적pH): 6–8 (7–8) / 산소요구도: 호기성 / 주요기질: D-glucose, D-mannose, D-mannitol, amygdalin, maltose, amidon, glycogen, gentobiose
      [1]

    •   배양배지: MA / 그람염색: 음성 / 콜로니특징: MA에서 노란색, 원형 콜로니 / 세포형태: 구균 / 세포크기: 0.7–0.8 µm
      [1]

    • 출처

      [1]. 해양공생미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2]. 해양공생미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참고문헌

      Zhang, D. C., Liu, Y. X., Huang, H. J., Weber, K., & Margesin, R. (2016). Winogradskyella sediminis sp. nov., isolated from marine sedi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6(8), 3157-316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16SrRNA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I0000027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Winogradskyella sedimini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6-03 10 Vial
      MABIK MI0000574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Winogradskyella sediminis 대한민국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원청리 2016-06-23 6 Vial
      MABIK MI0000725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미생물배양체 Winogradskyella sediminis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2011-06-21 10 Vial
      MEBiC14678 해양극한미생물자원 미생물배양체 Winogradskyella sediminis 태평양 2020-05-06 -10 Vial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