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거친대추멍게

거친대추멍게Ascidiella aspersa (Müller, 1776)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scidiacea해초강 > Phlebobranchia편새목 > Ascidiidae대추멍게과 > Ascidiella거친대추멍게속 >
국내기록문헌 : Pyo J, Lee T, Shin S. 2012. Two newly recorded invasive alien ascidians (Chordata, Tunicata, Ascidiac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in Korea. Zootaxa. 3368: 211-228.
  • 종설명(Description)

    •   수면 근처부터 최대 수심 90m까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항만이나 양식장 시설물의 수면~10m 수심에서 무리 지어 나타난다. 주변 자연 암반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1]

    •   몸은 계란형으로 다소 납작하다. 피낭은 반투명하며 두꺼운 편이다. 표면에는 작은 돌기들이 몸 전체를 덮고 있어서 거칠다. 입수공은 몸의 위쪽 끝부분에 있고, 출수공은 몸의 2/3지점에 위치한다. 복부 쪽이 단단한 기질에 부착한다.
      [1]

    •   노르웨이,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인도, 북-서대서양
      [1]

    •   제주도(서귀포, 제주), 인천, 군산, 구룡포, 부산, 통영, 광양, 목포
      [1]

    •   외래 해양생물이다. 선박, 항만, 양식 시설에 대량으로 달라붙어서 피해를 준다.
      [1]

    • 출처

      [1]. 신숙 외, 2013. 한국의 저서 외래 해양생물. 해양수산부, 102 pp.

    • [2]. 신숙 외, 2013. 한국의 저서 외래 해양생물. 해양수산부, 102 pp.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Antifouling Effects of Superhydrophobic Coating on Sessile Marine Invertebrates

        Biofouling is a significant problem in the aquaculture and marine shipping industries; thus, various antifoul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resultant economic losses. In the present study, the superhydrophobic surface of a lotus leaf was bio-mimicked to achieve antifouling. Specifically, fabric substrates with and without superhydrophobic coatings on the surface were installed on the Tongyeong yacht in December 2020 (group A) and April 2021 (group B), and the coverage of the attached invertebrates was recorded every month until August 2021. The coverage of solitary ascidians (Ascidiella aspersa and Ciona robusta) and branching bryozoans (Bugula neritina) was lower on the coated substrates than on the non-coated ones, and coating or non-coat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xtent of coverage. Superhydrophobic substrates with a low surface energy and micro-nano dual structure may be unsuitable for the attachment of larvae. Therefore, superhydrophobic coating is a more effective and simpler method of antifouling for certain taxa than other antifouling strategies. However, the antifouling effect of the superhydrophobic substrate in group A reduced after 5 months from the first installation; thus, the durability of the antifouling coating should be further improved, and solving this problem remains a major task, necessitating further research.

        Bae, Seongjun,Lee, Ye Ju,Kim, Min Kyung,Kwak, Yeongwon,Choi, Chang-Ho,Kim, Dong Gun MDPI AG 상세보기
        거친대추멍게(Ascidiella aspersa: Ascidiacea, Phlebobranchia, Ascidiidae)의 알 발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도의 영향 본 연구는 거친대추멍게(Ascidiella aspersa)의 알 발육과 유생 부착에 미치는 수온과 염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거친대추멍게 알 발육과 유생 부착 실험은 12개의 수온 조건(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circ}C$,과 2개의 염도 조건(30, 34 psu)에서 진행하였다. 거친대추멍게 알의 부화율과 발육률은 염도에 관계없이 수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적 수온 범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화 및 발육을 위한 최적 수온은 $20{sim}22^{circ}C$의 범위를 보였다. 저온 발육임계수온은 30 psu와 34 psu에서 각각 $1.5^{circ}C$$1.8^{circ}C$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착률은 염도에 관계없이 $16{sim}22^{circ}C$의 최적 수온 범위를 보였으며 부착시간은 수온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거친대추멍게의 최적 발육 및 생존 수온은 염도 조건에 관계없이 $20{sim}22^{circ}C$ 범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양식장에서의 거친대추멍게에 의한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거친대추멍게의 분포 및 발생시기를 예측하고 확산 방지 및 방제 방안을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김동현,김민경,박주언,김동건,윤태중,신숙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해양 교란생물로 인한 굴과 우렁쉥이 양식장의 피해 현황 조사 The Korean aquaculture industry was generally began in the 1970s and has gradually increased. Now, the number of households is about 7,068 and the scale of an aquaculture farm is about 248,014 ha; the value of all production in the industry is estimated to be about 1602.2 billion won. The aquaculture industry is very valuable and important for future food resources. However, the aquaculture industry was damaged by several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The Ascdiella aspersa colonized on the shell of scallop and then scallops were detached from rope. The patterns of damage in the aquacultures were observed in Tongyeong (oyster), Geojedo (oyster), and Gangneung (sea squirt) in June, 2017, as well as in Tongyeong (oyster) in November, 2017 by SCUBA divers. The species Halichondria bowerbanki, Bugula neritina, Mytilus galloprovincialis, Balanus amphitrite, Ascidiella aspersa, Ciona intestinalis, Didemnum sp, Styela plicata in Tongyeong, M. galloprovincialis, A. aspersa, C. intestinalis, D. vexillum, S. plicata in Geojedo, and M. galloprovincialis in Gangneung were all usually found in their farms. The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gave rise to a reduced number of aquaculture products. 박주언,이택준,김동현,김필재,김동건,신숙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거친대추멍게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거친대추멍게 검출 방법 102023000068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8건, 1/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IV0017217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친대추멍게
      Ascidiella aspersa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진항 2022-03-15
      MABIK IV0017313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친대추멍게
      Ascidiella aspersa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수륙해수욕장 2023-02-21
      MABIK IV0017313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친대추멍게
      Ascidiella aspersa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통영요트마리나 2023-02-21
      MABIK IV0017506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친대추멍게
      Ascidiella aspersa
      미국 2024-07-09
      MABIK IV0017506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친대추멍게
      Ascidiella aspersa
      미국 2024-07-0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