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붉은바다표고

붉은바다표고Agissea harveyana (P.Crouan & H.Crouan ex J.Agardh) Pestana, Lyra, Cassano & J.M.C. Nunes 2021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Peyssonneliales바다표고목 > Peyssonneliaceae바다표고과 > Agissea >
  • 종설명(Description)

    •   조간대 자갈 위에 부착하여 생육한다.
      [1]

    •   식물체는 피각상으로 기질 위에 단독 또는 군집으로 자라고, 가장자리를 포함한 엽체 전체가 기질에 단단하게 부착한다. 엽체는 자홍색으로 크기는 직경 3-8 mm, 두께 80-173 μm이다. 각각의 엽체에는 희미한 동심원과 방사상 선이 관찰된다. 표면관에서 기층사상체는 평행한 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방사열의 폭은 32-41 μm, 길이 10-17 μm이다. 피층사상체는 각 기층사상체 세포의 상부 표면 전체에서 다소 비스듬하게 발달하고, 빽빽하게 밀착하여 단단하며, 5-8 세포층이다. 피층사상체의 기저 세포는 폭 29-38 μm, 높이 12-20 μm로 높이보다 폭이 넓고, 위쪽으로 두 개의 사상체 세포(하나는 단순하고 다른 하나는 차상으로 분지)를 형성하여 장화 모양이 된다. 가근은 단세포성으로 기층사상체 세포의 중앙부(드물게 전단부)에 주로 형성되며 너비 3-12 μm, 길이 32-95 μm이다.
      [1]

    •   태평양(일본, 러시아), 대서양(카나리 군도, 영국, 프랑스, 그리스, 아일랜드, 포루투칼, 스페인)
      [2]

    •   제주도(성산)
      [1]

    • 출처

      [1]. Jeong, S. Y., Bustamante, D. E., Lee, J. G., Won, B. Y., Kim, S. H., & Cho, T. O. (2017). Two new records of Peyssonnelia species and Sonderophycus cauliferus comb. nov. within the family Peyssonneliaceae (Pe

      [2]. G.M. Guiry in Guiry, M.D. & Guiry, G.M. (2020).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s://www.algaebase.org; searched on 19 September 2022.

    • [3]. Jeong, S. Y., Bustamante, D. E., Lee, J. G., Won, B. Y., Kim, S. H., & Cho, T. O. (2017). Two new records of Peyssonnelia species and Sonderophycus cauliferus comb. nov. within the family Peyssonneliaceae (Pe

      [4]. G.M. Guiry in Guiry, M.D. & Guiry, G.M. (2020).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s://www.algaebase.org; searched on 19 September 20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0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등록된 자원정보가 없습니다.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