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1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채집된 양볼락과 쑥감펭속 한국미기록종, Scorpaenopsis neglecta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채집된 쏨뱅이목 양볼락과 (Scorpaenidae) 쑥감펭속 (Scorpaenopsis)에 속하는 연안성 해산어류 3개체 (표준체장 131.8~163.4 mm)에 근거해 Scopaenopsis neglecta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들은 등지느러미 극조수가 12개인 점, 구개골치가 없는 점, 등지느러미 첫 번째와 세 번째 극조 사이에 흑색 반점이 없는 점, 그리고 두부가 측편하는 점에서 쑥감펭속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양안간격이 안경보다 넓고, 양안 중앙융기연이 없으며, 최상부 새개골극이 다분지하고, 가슴지느러미 내측 기부에 흑색 반점이 산재하고, 지느러미 가장자리에 검은 띠가 있는 특징에서 동속 타종과 구별된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 산지인 서귀포어시장에서 불리는 방언인 '쏠치우럭'을 제안한다. Kim, Byung-Jik,An, Jung-Hyun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상세보기 나문재 추출물의 성분 분석 이전 연구에서 저자들은 나문재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추출물 함유 크림의 유화 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1,2]. 본 연구에서는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와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LC/ESI/MS/MS), $^1H$ -NMR을 이용하여 나문재 추출물에 대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나문재 추출물 중 ethyl acetate분획의 TLC는 5개의 띠($SA1{sim}SA5$ )로 분리되었다.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에 대한 HPLC 크로마토그램은 2개의 피이크(SAA 2 및 SAA 1)를 나타냈고, 각각 그 용리 순서는 quercetin, kaempferol이었으며 조성비는 quercetin 16.88%, kaempferol 83.12%로 kaempferol의 함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C/ESI-MS/MS를 통해서 SA 2는 kaempferol-3-O-gluco-side로 SA 3는 quercetin-e-O-glucoside, SA 4는 kaempferol-3-O-rutinoside, SA 5는 quercetin-3-O-rutinoside로 확인되었다. LC/ESI-MS/MS의 스펙트럼에서 SAA 1은 탈양성자화된 aglycone 분획에 상용하는 분자이온$[M-H]^$ -(m/z285) 피이크를 나타냈으며,$^1$ v 분석을 실시한 결과 [${delta}$ 6.19 (1H, d, J=1.8Hz, H-6),${delta}$ 6.44 (1H, d, J=1.8Hz, H-8),${delta}$ 6.92 (2H, d, J=9.0Hz, H-3',5'),${delta}$ 8.04 (2H, d, J=9.0Hz, H-2',6')]에서 피이크들이 나타났다. 따라서 SAA 1은 kaempferol임이 확인되었다. SAA 2는 aglycone 분획에 상응하는 분자이온$[M-H]^-$ (m/z 301)을 생성하였고,$^1H$ -NMR 스펙트럼은 [${delta}$ 6.20 (1H, d, J=2.0Hz, H-6),${delta}$ 6.42 (1H, d, J=2.0Hz, H-8),${delta}$ 6.90 (1H, d, J=8.6Hz, H-5'),${delta}$ 7.55 (1H, dd, J=8.6, 2.2Hz, H-6'),${delta}$ 7.69 (1H, d, J=2.2Hz, H-2')]에서 피이크들을 나타냈고, 따라서 SAA 2는 quercetin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미 보고된 나문재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그리고 안정성 실험과 더불어 나문재 추출물의 성분분석은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양희정,박수남 대한화장품학회 상세보기 한국산 곰치과 어류 첫기록종, Strophidon dorsalis 곰치과에 속하는 Strophidon dorsalis 1개체 (전장 1,254 mm)가 2018년 7월 우리나라 남해안의 진도연안에서 연안통발로 처음 채집되었다. 이 종의 특징은 몸에 무늬가 없고, 주둥이가 약간 둥근 형태를 띠며, 2개의 안상골공 (superorbital pores), 3개의 안하골공 (infraorbital pores), 그리고 6개의 하악골공 (mandibular pores)을 갖는 다. 이 종은 형태적으로 가는곰치 (Strophidon sathete)와 유사하지만 안하골공이 3개이며 (vs. 가는곰치는 4개), 마지막의 안하골공은 눈의 앞부분에 위치하며 (vs. 안하골공이 눈의 뒷부분에 위치), 전장에 대해 체고비율이 3.2~4.1%(vs. 1.8~3.1%), 그리고 척추골수가 154~167개 (vs. 188~200)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어종의 국명은 '서망곰치'로 제안한다. Kang, Chung Bae,Kim, Maeng Jin,Kim, Jin-Koo,Song, Choon Bok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상세보기 감태 추출물이 지니는 Lipase 저해활성의 열 및 pH 안정성 본 연구는 감태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실시하였다. 감태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8.1%, 회분함량은 26.5%, 조지방 함량은 1.2%, 조단백 함량은 12.9%, 탄수화물의 함량은 51.4%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의 색도 및 pH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명도 및 황색도가 높고 적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산성과 약산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을 5, 2.5 및 1 mg/mL의 농도로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59, 34 및 19%의 저해활성을 보여 물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감태 에탄올 추출물의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100^{circ}C$ 에서 20분,$121^{circ}C$ 에서 15분의 열처리에 의해 lip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2~10의 모든 범위에서도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ipase 저해활성을 지니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이 열 및 pH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가져 항비만 소재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정지연,김꽃봉우리,이청조,곽지희,김민지,김동현,선우찬,김태완,안동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한국 서해안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연령과 성장 본 연구는 2007년 10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전라북도 군산시 고군산군도에서 통발어구로 채취된 갈색띠매물고둥을 조사하였다. 갈색띠매물고둥의 뚜껑에 나타난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 윤문 형성시기는 7월에서 8월로 조사되었으며, 초륜 형성기간은 12개월 (1년) 로 나타났다. 각고 (SH) 에 대한 각폭 (SW) 의 성장식은 SW = 0.5757 SH + 0.222 ( $R^2$ = 0.8 0.8723), 총중량 (TW) 의 상대성장식은 TW = 0.0002 $SH^{2.8162}$ ( $R^2$ = 0.9 0.912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연령 (t) 에 대한 각고 (SH) 와 총중량 (TW) 의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다음과 같다. $$SH_t=173.964(1-e^{-0.164(t+1.173)})$$ $$TW_t=407.952(1-e^{-0.164(t+1.173)})^{2.8162}$$ 안정은,최종덕,류동기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4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띠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2013-002576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원문정보 해조류의 발효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2013-0013257 (주)청호씨앤팜 | 김민규 | 주식회사 해마 원문정보 해삼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10070534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띠갈파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102012006271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원문정보 제수·혼수 꽃오림 재료용 오징어 가공방법 1019990051186 이성강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