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담배잎산말

담배잎산말Desmarestia dudresnayi subsp. tabacoides (Okamura) A.F.Peters, E.C.Yang, F.C.Küpper & Prud'Homme, 2014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Chromista크로미스타계 > Ochrophyta대롱편모조식물문 > Phaeophyceae갈조강 > Desmarestiales산말목 > Desmarestiaceae산말과 > Desmarestia산말속 >
  • 종설명(Description)

    •   ▵ Type locality : Nagasaki, Nemoto (Boshyu), Enoshima (Prov. Sagami), Onahama Japan
        
        가시적인 엽상형 포자체 세대와 현미경적 사상체인 배우체 세대로 구성되는 이형세대교번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우체는 자웅동주이다. (Nakahara & Nakamura 1971). 공기중에 노출되거나 스트레스를 가할 경우 산성 물질을 방출하며 독특한 냄새와 함께 변색한다. [6]
        식물체는 높이 20~50cm, 폭 10~20cm 정도로 연한 갈색이고 얇은 막질이며, 넓은 나뭇잎 모양으로 기부에 짧은 원주상 자루를 갖고, 엽상부에는 잎맥이 있다. 엽상부는 넓은 난원형의 매우 큰 엽상이고, 잘 분지하지 않고 대개 단조하며, 반상형 부착기를 이용해 바위에 부착한다. 잎맥은 마주나기로 발달하고, 가장자리로 가면서 옅어진다. 노성하면 쉽게 찢어지고, 건조하면 대지에 잘 붙지 않는다. 엽체는 정단분열세포와 정모생장을 통해서 막상으로 신장한다. 포자낭은 엽체에 분산되어 발달하고, 피층세포로부터 발달한다. [1]
        

    •   주로 늦은 가을부터 다음 해 여름까지 조하대 수심 3~10m의 암반에 생육한다.[1]

    •   전해역

    •   일본, 북태평양 서안에도 분포 [1]

    •   항산화 효능 및 식품, 산업용으로 활용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Oh et al. 1990. Algae
      Guiry, M.D. & Guiry, G.M. (2020).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taxonomic information republished from AlgaeBase with permission of M.D. Guiry). Desmarestia dudresnayi subsp. tabacoides (Okamura) A.F.Peters, E.C.Yang, F.C.Küpper & Prud'Homme van Reine, 2014. Accessed through: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at: http://www.marinespecies.org/aphia.php?p=taxdetails&id=847085 on 2020-06-21
      1. 부성민, 이욱재, 황일기, 금연심, 옥정현, 조가연. 2010. 한국의 조류(Algae). 제2권 2호, 해산 갈조류 II.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205 pp.
      2.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 서울. 477 pp.
      3. Okamura, K. 1908. Icones of Japanese Algae. Vol. I pp. 179-208, pls. XXXVI-XL. Tokyo: The Author.
      4. Yang, E. C., A. F. Peters, H. Kawai, R. Stern, T. Hanyuda, I. Bárbara, D. G. Müller, M. Strittmatter, W. F. Prud'homme van Reine, F. C. Küpper. 2014. Ligulate Desmarestia (Desmarestiales, Phaeophyceae) revisited: D. japonica sp. nov. and D. dudresnayi differ from D. ligulata. Journal of Phycology 50(1): 149-166.
      5. Nakahara, H. & Nakamura, Y. 1971. The life history of Desmarestia tabacoides Okamura. J. Bot. Mag. 84: 69-75.
      6.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 이형우, 2022,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332 pp.

      • [담당자]국립해양생물자원관 : 곽민석 전임연구원(041-950-0836, poohaxx@mabik.re.kr)
      • [자료 수정 날짜]2022-12-21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산말의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 본 연구는 산말 3종류 Desmarestia dudresnayi subsp. Tabacoides (담배잎산말), Desmarestia viridis (쇠꼬리산말), Desmarestia ligulate (참산말)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 멜라닌 활성에 대한 기능적 연구를위해 수행하였다. 3종류의 산말 중 담배잎산말 추출물이 2.5 mg / mL의 농도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각각 68.0 % ± 1.9 % 및 84.6 % ± 1.7 %로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질소 (NO) 라디칼 소거 활성은 91.6 % ± 1.1 %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산말 추출물을 이용한 B16F10세포의 세포독성은 100 ㎍/mL 농도에서 3종의 산말 추출물이 모두 85% 이상의 세포 생존률을 보였고, 100 ㎍ / mL농도에서 담배잎산말 및 쇠꼬리산말이 70% 이상의 멜라닌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내용은 산말이 항산화 및 항멜라닌 활성과 같은 천연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남영선,강상모 중소기업융합학회 상세보기
        RAW 264.7 세포에서 담배잎산말의 TLR4/MAPKs/NF-κB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과 Desmarestia tabacoides Okamura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갈조류 중 하나이다. 몇몇 산말류의 항종양, 멜라닌 생성 억제 및 광보호 활성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D. tabacoides Okamura의 항염증 기전에 대해서는 보고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LPS (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D. tabacoides Okamura 에탄올 추출물(DTEE)의 항염증 기전을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 (COX)-2의 발현 및 이들의 상위신호전달물질인 nuclear factor (NF)-κB,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그리고 phosphoinositide-3-kinase (PI3K)/Akt의 인산화 조절 정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DTEE의 처리는 세포 독성 없이 LPS로 유도된 NO와 prostaglandin (PG) E2의 생성과 이들의 생성 효소인 iNOS 및 COX-2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LPS에 의해 활성화된 NF-κB 및 상위 신호 전달 물질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 NH2-terminal kinase (JNK) 및 p38은 DTE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DTEE의 처리는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활성화되는 adaptor molecule인 Toll-like receptor (TLR) 4 및 myeloid differentiation primary response (MyD) 88 또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DTEE는 LPS에 의해 유도된 TLR4와 NF-κB 및 MAPK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매개인자의 발현을 조절하였고, 이는 DTEE가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Hyun-Seo Yoon,Hyun An,Chung Mu Park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상세보기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Desmarestia dudresnayi subsp. tabacoides 담배잎산말 항산화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60건, 1/3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876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담배잎산말
      Desmarestia dudresnayi subsp. tabacoides
      대한민국 2011-07-16
      MABIK AL0000876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담배잎산말
      Desmarestia dudresnayi subsp. tabacoides
      대한민국 2011-07-16
      MABIK AL0001523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담배잎산말
      Desmarestia dudresnayi subsp. tabacoides
      대한민국 2011-07-07
      MABIK AL0001524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담배잎산말
      Desmarestia dudresnayi subsp. tabacoides
      대한민국 2011-07-07
      MABIK AL0001524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담배잎산말
      Desmarestia dudresnayi subsp. tabacoides
      대한민국 2011-07-0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