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덩이애기산호말Jania pedunculata var. adhaerens (J.V.Lamouroux) A.S.Harvey, Woelkerling & Reviers, 2020
조간대 하부부터 수심 5m의 얕은 곳에 주로 서식하며, 연중 관찰할 수 있다.
[1]
식물체는 분홍 또는 옅은 분홍색으로 다른 해조류 위에 착생하여 반구 또는 구형의 덩어리를 이룬다. 유절산호말로서 엽체는 전체적으로 석회질이 침적되어있어 단단하며,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마디가 있고, 마디 부분은 비교적 자유롭게 구부러진다. 절간부는 원주상의 선형이며, 각 2-3 마디마다 각 방향으로 차상 또는 삼차상으로 분지하며 인근 가지들과 서로 엉킨다. 가지의 정단은 비슷한 높이에 도달한다. 지름 3cm로 자라고, 절간부는 길이 0.5 mm, 폭 0.1 mm가량으로 매우 작다.
[1]
태평양(일본, 중국, 타이완,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미국 서부, 폴리네시아, 하와이), 대서양(카나리 제도, 버뮤다,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카리브해, 카메룬, 알제리), 인도양(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호주 서부)
[2]
동해안(울진, 월성, 영광), 남해안(소안도), 제주도(지귀도, 형제섬, 섶섬, 성산포, 차귀도, 애월, 행원, 위미, 법환, 한림, 함덕, 외도, 온평)
[3]
출처
[1].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2]. G.M. Guiry in Guiry, M.D. & Guiry, G.M. (2020).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s://www.algaebase.org; searched on 19 September 2022.
[3].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이용필, 강서영. (2002).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제주대학교 출판부. 662 pp.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 서적. 477 pp.
[4].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5]. G.M. Guiry in Guiry, M.D. & Guiry, G.M. (2020).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s://www.algaebase.org; searched on 19 September 2022.
[6].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이용필, 강서영. (2002).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제주대학교 출판부. 662 pp.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 서적. 477 pp.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1 | 1 | 3 | 3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1 | 2 | 1 | 2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1 | 1 | 2 | ||
NCBI (Jania pedunculata var. adhaeren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