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넓은둥근돌김

넓은둥근돌김Porphyra suborbiculata f. latifolia T.Tanaka, 1952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Bangiophyceae김파래홍조강 > Bangiales김파래목 > Bangiaceae김파래과 > Porphyra김속 >
  • 종설명(Description)

    •   홍조식물문 김파래홍조강에 속하는 홍조류로, 엽체는 자웅동주이나 흔히 무성 상태이고, 단층세포로 구성된 막질이다. 원형 또는 신장형을 자라며, 적갈색 또는 진한 적새을 띠며, 연변부는 거치상 돌기가 뚜렷하고 심하게 끝이 말리며, 기부는 원형 또는 심장형의 모양을 갖는다. 기부 가근세포는 표면에서 사각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며 각각 하나의 가근사를 아래쪽으로 내며, 종단면에서 가근사는 호생 배열한다. 영양세포는 세포다 한 개의 엽록체가 있고, 표면에서 타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고, 단면에서는 직사각형의 모양을 한다. 정자난반은 엽체 가장자리를 따라 성숙하며, 조과기의 수정모는 한쪽면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한다. 접합포자낭은 정자낭반 안쪽에 위치하고 접합포자를 지니고 있으며 사면분열한다. 또한 엽체 상부 가장자리에서 시원포자를 활발하게 방출하여 탈락함으로써 엽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특징이다.

    •   모양은 원형, 신장형 또는 피침형이다. 크기는 길이 10~25cm, 폭 7~20cm, 엽체 중부 두께 35~41μm이다. 색깔은 연한 적갈색을 띤다. 연변부에 거치상 돌기가 뚜렷하고 흔히 끝이 말린다. 기부는 원형 또는 심장형이고, 보통 암반에 부착한다. 기부 가근세포는 표면에서 둥글거나 타원형이며, 길이 18~32μm, 폭 14~20μm이다. 세포 각각은 심하게 뒤틀리는 하나의 가근사를 아래쪽으로 내며, 종단면에서 가근사는 호생 배열한다. 영양세포는 세포당 한 개의 엽록체가 있고, 표면에서는 타원형 또는 모나지 않은 사각형이고, 길이 8~25μm, 폭 6~18μm이다. 단면에서는 직사각형으로 높이 12~20μm이다.(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겨울~봄철에 주로 출현한다. 주로 우리나라 남해안에 생육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아열대 및 온대해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는 특징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남해안이 분포상 북방한계선으로 보이나, 최근 동해안 중부 연안까지 북상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   남해안

    •   일본

    • 참고문헌

      [1]. 국립생물자원관 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121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1121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11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김속식물 3종의 생장과 단포자방출에 미치는 해양심층수의 영향 본 연구는 김속식물 3종의 생장과 단포자방출에 미치는 해양심층수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해양 심층수와 표층수는 각각 강원도 고성군 근해와 연안의 수심 600 m와 표층에서 채수하였으며, 김속식물은 강원 연곡에서 오카무라돌김($Porphyra$ $okamurae$), 경남 통영과 남해에서 각각 넓은둥근돌김($P.$ $suborbiculata$ f. $latifolia$)과 큰방사무늬김($P.$ $yezoensis$ f. $narawaensis$)을 채집하였고, 이들 재료로부터 단포자를 채묘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종 가운데 넓은둥근돌김의 생장이 가장 빨랐으며 이때의 배양조건은 심층수구의 $15^{\circ}C$, 단일조건(10L:14D)으로 나타났다. 김속식물 3종의 생장은 심층수와 혼합구의 단일 및 $10^{\circ}C$$15^{\circ}C$ 조건에서 빠르게 나타났다. 배양중인 엽체로부터의 단포자는 배양 3주 이내에 양광주기하의 $10-25^{\circ}C$에서 모두 방출이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김속식물의 생장과 단포자방출은 표층수보다 심층수에서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결과를 심층수를 이용한 재배종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심층수를 방출된 단포자의 배양에 활용할 경우 여름철에도 실내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승오,김남길 한국해양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9건, 1/4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1600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둥근돌김
      Porphyra suborbiculata f. latifolia
      대한민국 2011-02-24
      MABIK AL0001600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둥근돌김
      Porphyra suborbiculata f. latifolia
      대한민국 2011-02-24
      MABIK AL000160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둥근돌김
      Porphyra suborbiculata f. latifolia
      대한민국 2011-02-24
      MABIK AL0001600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둥근돌김
      Porphyra suborbiculata f. latifolia
      대한민국 2012-01-19
      MABIK AL000160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넓은둥근돌김
      Porphyra suborbiculata f. latifolia
      대한민국 2012-01-1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